본문 바로가기
주식

자동차부품 관련주 한방에 정리

by 지 백 2023. 5. 13.
반응형

[특징주] 현대차그룹 실적 호조에 자동차·전기차 부품주 강세

 현대차그룹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최근 자동차 및 전기차 부품주들이 순환식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2일 오전 10시 30분 상승 중인 슈어소프트테크(+22%), 세종공업(+20.69%), 다이나믹디자인(+18.80%), 우수 AMS(+19.80%), 동아화성(+14.71%), 명신산업(+3.70%), 서연이화(+5.92%), 캐스텍코리아(+15.81%) 등은 모두 자동차 또는 전기차 관련 종목들이다.
[출처 : http://www.l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504]

 

미래차 경쟁력 강화 가속도… 대구 자동차부품 산업구조 재편

대구시는 지역 자동차부품 산업구조 재편에 나선다. 이를 위해 대구시는 2023년도 미래차 전환 지원사업 참여 기업을 모집한다.
최근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전동화 전략 가속으로 인해 2030년 기준 전 세계 전기차 시장 규모가 현재의 800만 대에서 4000만 대 수준으로 약 5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구시는 미래차 전환 지원사업의 최우선 목표를 ‘미래차 사업재편 승인’ 확대에 두고 이(異) 업종간 기술 협력을 포함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출처 :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293] 

자동차부품 관련주
자동차부품 관련주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로 현대차그룹이 세계적인 글로벌 자동차메이커로 성장하면서 자동차 관련 부품주들도 수혜 기대감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이 전문화, 글로벌화되고 있으며, 또한 세계 완성차 업계의 납품 관행이 품질 위주로 바뀌면서 가격 대비 품질에서 앞서고 있는 국내 업체들의 해외 직수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자동차부품 관련주이자 저평가받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동원금속(018500 KOSPI)

기업정보

동원금속은 1971년 4월에 설립된 기업으로 자동차부품(도어후레임, 머플러, 임팩트빔), 강관 제조, 판매 등 자동차 차체용 신품 부품 제조업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원금속은 동원산업사로 설립되어 1995년 11월 코스피에 상장한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 자동차 DOOR FRAME류를 비롯한 각종 CHANNEL, COWL CROSS MEMBER 및 전기차용 BATTERY FRAME 등 자동차 부품 생산에만 전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동원금속은 자체 부품을 생산해 현대차그룹에 공급하고 있으며 종속기업인 동원파이프가 산업용, 자동차용 강관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실적 및 분석

영업이익 : 2020) 207 -> 2021) -12 -> 2022) 117
총 자산 수익률(ROE) : 2020) 29.83 -> 2021) -55.39 -> 2022) 48.51
주가 수익 비율(PER) : 2020) 1.36 -> 2021) -1.98 -> 2022) 1.85
주가 순자산 비율(PBR) : 2020) 0.33 -> 2021) 1.74 -> 2022) 0.68

 

동원금속의 지난 3년간 영업이익을 보면 솔직히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20년 대비 2021년 지표들을 비교하면 한눈에 봐도 좋지 못하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는데 그나마 2022년에 다시 어느 정도 개선된 점을 볼 수 있습니다.

총 자산 수익률(ROE)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2020년 29.83(%)으로 준수한 수치를 기록했지만 2021년에 들어서 -55.39(%)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다행히 2022년에 48.51(%)로 상승하면서 지난 3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주가 수익 비율(PER), 주가 순자산 비율(PBR)도 2021년을 제외하고서는 무난한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따라서 동원금속은 2021년 대비 2022년에 지표상 개선된 점을 볼 수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저평가받고 있는 좋은 기업임을 맞지만 향후 행보를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동(053060 KOSDAQ)

기업정보

세동은 1986년 2월에 설립된 기업으로 자동차부품(도어벨트, 압출물, 사출물, 몰딩) 제조, 도매 등 그 외 자동차용 신품 부품 제조업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금속삽입 압출 방식의 PVC제품으로 웨이스트라인몰딩, 도어벨트를 개발하여 국내자동차 메이커에 공급하고 있으며 몰딩류의 경우 현대/기아는 우영산업, GM, 쌍용에는 쿠퍼스텐다드가 국내 경쟁사이며, 사출류는 후성산업이 협력사로 등록되어 공급 중입니다. 질소가스를 응용한 가스사출공법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여 전공정을 고품질, 저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설비능력 및 기술능력을 갖췄습니다. 

실적 및 분석

영업이익 : 2020) -50 -> 2021) 23 -> 2022) 124
총 자산 수익률(ROE) : 2020) -82.78 -> 2021) -5.61 -> 2022) 54.27
주가 수익 비율(PER) : 2020) -2.33 -> 2021) -30.10 -> 2022) 1.98
주가 순자산 비율(PBR) : 2020) 2.98 -> 2021) 1.40 -> 2022) 0.86

 

세동의 지난 3년간 영업이익을 보면 적자를 기록한 2020년에서 흑자로 전환하여 2022년에 124억 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자산 수익률(ROE)도 2020년에 -82.78(%)를 기록했지만 점차적으로 상승하여 2022년에 54.27(%)까지 올랐습니다.

주가 수익 비율(PER)은 오히려 잘 내려가던 수치가 2022년에 상승하면서 1.98(배)을 기록하였습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PBR)은 꾸준히 하락하면서 2022년 0.86(배)으로 지난 3년간 최저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따라서 세동은 점차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으로 충분히 저평가받고 있는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유에이피(290120 KOSDAQ)

기업정보

대유에이피는 2016년 10월에 설립된 기업으로 자동차 스티어링휠 제조/비주거용 건물 임대 등 그 외 자동차용 신품 부품 제조업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유에이피는 자동차부품 중 조향장치 제조를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스티어링휠 부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스티어링휠 산업은 특유의 특수성과 전문성으로 완성차에 스티어링휠제품을 납품할 수 있는 업체가 극소수일 정도로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입니다. 대유에이피는 국내 스티어링휠 업체에서 유일한 제조, 성형, 가죽공정으로 이어지는 전 공정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는 업체로 국내 완성차 5개 업체 중 대유에이피와 거래 중인 업체는 현대자동차, 기아, 한국 GM입니다.

실적 및 분석

영업이익 : 2020) 141 -> 2021) 114 -> 2022) 223
총 자산 수익률(ROE) : 2020) 11.93 -> 2021) 14.39 -> 2022) 31.10
주가 수익 비율(PER) : 2020) 14.10 -> 2021) 8.02 -> 2022) 2.61
주가 순자산 비율(PBR) : 2020) 1.63 -> 2021) 1.04 -> 2022) 0.72

 

대유에이피는 지난 3년간 영업이익을 보면 눈에 띌 정도로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고 꾸준히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총 자산 수익률(ROE)은 점차적으로 상승하여 2020년 대비 2022년에 31.10(%)을 기록하면서 3배 가까이 상승한 점을 볼 수 있었습니다. 주가 수익 비율(PER), 주가 순자산 비율(PBR)은 지난 3년간 꾸준히 하락하는 점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대유에이피는 비록 영업이익이 수평하지만 총 자산 수익률, 주가 수익 비율, 주가 순자산 비율 지표는 점점 개선하고 있는 점에서 저평가받고 있는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본 자료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부터 얻어진 것이지만, 정확성이나 완전성은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반응형

댓글